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임력 보존을 위한 방법 알아보기

by 지선체 2023. 10. 26.
반응형

1. 가임력 보존이란?

 가임력 보존은 가임력(임신을 가능하게 하는 생식능력)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의학적인 적응증이 있는 경우 시행되며, 보존 방법으로는 생식 세포(정자, 난자) 또는 배아의 동결보존, 난소 조직 동결보존 등이 있습니다. 가임력 보존은 항암치료를 하면 생식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암 환자의 가임력 보존을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2. 가임력 보존 적용 대상 확대

 가임력 보존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고 개념이 확대됨에 따라 반드시 악성 종양의 치료를 위한 항암 약물 및 방사선 치료가 아니더라도 난소기능의 손상이나 생식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다양한 비종양성 질환 (예를 들어 자궁내막증, 양성 난소 종양, 조기 난소 부전 및 터널증후군 등), 자가면역질환 등에서도 가임력 보존이 적용 확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결혼연령이 늦어지고 임신 준비 시점이 늦어짐에 따라 미혼 남녀 사이에 장래의 이신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으로도 고려되고 있습니다. 

 

3. 가임력 보존 방법

 ▶ 배아 동결

 배아 동결보존은 기혼 여성에게 사용 가능한 방법으로 현재 시험관아기 시술 후 잔여 배아를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방법과 동일합니다. 과배란 유도 주사제 투여 후 다수의 난자를 채취한 후 채취된 난자와 정자를 수정시켜 생성한 배아를 동결하여 보존하는 방법입니다. 임신을 원하는 시기에 해동하여 배아이식으로 임신 시도를 하게 되며, 배아 동결보존은 가장 높은 임신율을 기대할 수 있고 가장 안정된 가임력 보존 치료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배아의 동결 보관 기간

배아의 보존기간은 5년입니다. 다만 동의권자가 보존기간을 5년 미만으로 정한 경우에는 이를 보존기간으로 합니다. (생명윤리법 제25조 제1항) 그러나 동의권자가 항암치료를 받는 경우, 해당 기간위원회가 동의권자의 생식세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치료라고 심의한 치료를 받는 경우 5년 이상으로 배아의 보존기간을 연장하여 정할 수 있습니다. 

 

▶ 난자 동결

 과배란 유도부터 난자 채취까지 약 2주의 시간이 소요되며, 치료 일정은 환자의 상태 및 질병의 치료 과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채취한 난자는 추후 임신을 원할 때 해동하여 정자와 수정 후 체외에서 배양 후 자궁 내 이식을 하게 됩니다.

 

 해동 후 임신 성공률은 난자 동결은 최근 보존 방법의 발전으로 인해 동결하지 않은 신선 난자의 임신율과 동일한 수준으로 향상되었습니다. 또한 난자 동결의 임신율은 난자의 동결 시 나이에 의해 좌우되며 임신 시의 나이에는 크게 좌우되지 않으며 태아의 염색체 이상의 가능성 역시 난자의 동결시 나이에 좌우되므로 노화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난자 동결 방법은 조기폐경의 위험이 있는 환자, 암 치료 등으로 난소기능의 상실이 예상되는 환자에서 사용할 수있으며, 미혼 여성들도 미래를 위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난자 동결 보관 기간

 난자의 동결 기한은 따로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난자 동결은 비교적 최신 기술로 아직 보관 연한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가 부족한 상태이지만 현재 10년 이상 난자를 보관하여도 사용에 문제가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영국에서는 동결 난자를 최대 55년까지 보관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으며, 국내의 한 병원에서도 만성 골수병 백혈병 여성의 9년 전에 냉동 보관한 난자를 이용하여 2011년 출산에 성공한 사례가 보고 되었습니다. 

 

 

▶ 정자 동결

 정자 동결은 채취한 정자를 동결보호제와 혼합해 저온 상태의 액체질소에 보관하는 것으로 항암치료와 같은 이유로 정자 생성 기능에 어려움이 예상되거나 늦은 결혼, 직업상 난임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시행합니다. 자가 정자채취가 불가할 경우 정소 조직을 동결하거나 고환내 정관을 채취한 후 일정 처리 후 정자를 동결합니다.

 

  정자 동결 보관 기간

 정자의 동결 기간은 따로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정자 동결은 전문기관에 정자를 보관하는 경우 10년 이상 정자를 동결 보관하여도 추후 이를 해동해 임신을 시도할 때 임신 성공률도 동결 기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영국에서는 동결 정자를  최대 55년까지 보관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 난소조직동결

 사춘기 이전 초경을 경험하지 않은 여성 암 환자나 소아암 환자 중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가임력 보존 방법으로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 가임력 보존의 확립된 방법으로 인정받았으며, 국내에서도 도입되고 있습니다. 난소 조직을 채취한 다음 조직 자체를 동결시키는 방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