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부가 함께하는 난임 검사

by 지선체 2023. 10. 12.
반응형

난임 검사란?


난임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난임 전문의에게 적절한 검사를 통해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극복의 첫걸음이다. 난임 검사는 크게 여성, 남성 및 부부 공통 검사로 구분된다.

 

1. 부부 공통 검사

•문진: 다른 모든 검사 전에 시행. 과거의 병력 및 특이 사항 등을 의사와 함께 검토
•신체검사: 기본적인 신체검사 및 생식 기계 검사

 

2. 여성 검사


Hormone 검사와 기본 검사
• 검사 항목: AMH, TSH, PRL, E2, FSH, LH, HBsAg, HBsAb, HCV Ab, HIV Ab, VDRL, Ru IgG, Ru IgM, Hb, HCT.
AST/ALT, IVT D, 기본 검사
• 검사 일시: AMH, TSH, PRL(생리 주기와 상관없이 검사 가능), E2, FSH, LH (MCD#2∼3일이 좋으나,
MCD#1∼4일도 크게 상관없음) 환자가 MCD#7일째 내원했다면, 생리주기와 관계없는 호르몬 검사를 먼저 시행
후 다음 주기에 추가로 검사한다.
•준비 사항: 금식은 필요 없음


자궁 초음파
• 검사 목적: 여성생식기(자궁, 난소, 질)의 질환의 발견 및 진단(MOMA, tumor, cyst, ovary torsion 등) 난임 치료 시 초음파로 난포의 수, 난포의 성장을 관찰할 수 있고, 자궁내막의 발달을 관찰할 수 있다.
- 복부 초음파: 복벽을 통하여 검사. 골반강 내 지방, 공기 등으로 인하여 시야가 좋지 않을 수 있어 방광 내
소변을 채우고 검사 시행한다. 경질 초음파에 비해 더 넓은 부위를 동시에 관찰할 수 있다.
- 질 초음파: 탐촉자를 질 내로 삽입하여 검사. 여성 생식기를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으므로 복부 초음파보다
자세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성 경험이 없는 여성에게는 시행할 수 없다.
자연 배란주기에서는 월경 2~3일에 시행하여 황체 낭종이나 양성 난소 낭종의 유무를 확인한다.
- 자궁: 자궁의 위치, 크기, 기형 여부, 근종 확인, 자궁의 혈류 측정
- 자궁내막: 두께, 내막의 형태
- 난소: 난소의 형태, 위치, 이동성, 난소의 부피, 난포의 개수, 난소 낭종의 확인
- 우성 난포의 관찰: 평균 직경 측정, 최대 혈류속도 측정


자궁난관조영초음파Hycosy/ 자궁난관조영술HSG
• 준비 사항: 검사 전 방광을 완전히 비운다.
• 검사일시: 보통 MCD#7∼12일째 / 생리주기 짧은 경우 MCD#5일도 가능



자궁내막 조직검사 Endometrial biopsy
- 난임 증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착상 과정에 관여하는 자궁내막의 문제로 건강한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되었다 하더라도 자궁 내에서 착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아무 소용이 없기 때문에 자궁내막이 정상적인지의
여부를 알아보는 것 또한 중요하다.
- 자궁내막 생검을 통하여 착상이 일어나는 장소인 자궁강과 내막 확인
- Catheter로 자궁내막 세포를 채취 포르말린 bottle에 넣음 (자궁저부의 전후 벽에서 흡인)
- 검사 자체가 조직의 일부분을 떼어내기 때문에 통증과 출혈 유발



 

3. 남성 검사

Hormone 검사- 혈액검사
•검사 항목: TSH, PRL, E2, FSH, LH, testosterone
•준비 사항: 금식 필요 없음


정액 검사 Semen Analysis (culture 포함)
•준비 사항: 2일에서 7일 정도의 금욕기간 필요
- 부고환 (epididymis) 기능 이상 아니면 금욕기간이 길어도 정자 활력, 크로마틴에 영향 미치지 않음 (금욕기간
길면 소변으로 배출됨).
- 금욕기간이 짧으면 (고환 용적에 따른) 사정 정자 수, 검사 역량에 영향을 미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