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시험관 아기(체외수정)이란

by 지선체 2023. 10. 24.
반응형

난임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험관 아기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조생식술]

보조생식술(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이란, 임신을 위한 난자, 정자, 배아와 관련된 모든 치료와 기술을 의미합니다. 보조생식술의 종류로는 체외수정 시술, 난자세포질 내 정자주입술, 착상 전 유전 진단, 배아 이식술 등이 있습니다. 

 

보조생식술 난자세포질 내 정자주입술(intra 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체외수정 시술(in vitro fertilization,IVF)
배아 이식(embryo transfer,ET)
착상 전 유전 진단(preimplantational genstic diagnosis, PGD)

1978년 영국에서 최초로 시험관 아기가 탄생하였고, 한국에서는 1985년 체외수정 시술을 통해 시험관 아기가 탄생하였습니다. 이후 보조생식술은 점차 발전하여 한국에서 발표된 '2009 한국 보조생식술의 현황'을 살펴보면, 74개의 보조생식술 의료기관에서 총 27,947 사례의 보조생식술이 시행되었고, 이 중 6,062명이 임상적으로 임신에 성공하였다. 

 

■ 시험관 아기술 (in vitro fertilization,IVF)

시험관 아기술은 성숙한 난자를 채취하여 배우자의 정자와 섞은 후 수정되면 수정란을 배양기에서 며칠 동안 키워 다시 자궁 안에 넣는 것입니다. 1985년 국내 시험관 아기 탄생한 지 30년이 흐르면서 계속 발전하고 있으며, 아래의 단계로 시행됩니다. 

 

시험관 아기술 4단계

배란유도 및 배란검사  → 난자 및 정자 재취 시험관 내 수정과 배양   배아이식 

 

▶ 배란 유도 및 배란 검사

각 환자분의 특성에 따라 과배란 유도제를 투여하는 방법과 자연배란 주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배란 유도제 투여 

 여러 개의 난자를 채취하여 배아를 여러 개 이식함으로써 임신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호르몬 검사와 초음파검사로 난포가 자라는 것을 감시 하며 약제를 투여합니다. 

 

- 단기 요법

 생리 2일째부터 시작하여 과배란 유도 주사를 8~10일간 맞게 되며, 난자 채취는 보통 생리 11~13일째 되는 날 하게 됩니다. 

 

- 장기 요법

 생리가 시작되기 약 10일 전부터 미리 주사를 맞기 시작하는 방법입니다.

 

- 자연배란 주기

 자연적으로 생산되는 1개의 난자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쉽고 저렴하며, 매달 되풀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난자 및 정자 채취

 

 - 난자의 채취

 융모성생식선자극호르몬 주사 투요 후 34~36시간 정도 지난 뒤 채취합니다. 채취 방법으로는 질 초음파를 통해 흡입 바늘로 질벽을 통과하여 채취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됩니다.

 

- 정자의 채취

 난자 채취 후 4~5시간 이내에 소독된 용기에 수음법을 이용하여 정액을 받습니다. 시술 당일 정액 채취가 힘든 경우에는 미리 정자를 채취하여 냉동 보관 후 해동하여 시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시험관 내 수정과 배양 

채취된 정자와 난자는 체외 수정한 후 추가적으로 배양합니다.

 

- 세포질 내 정자 주입술 (intra 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난자 세포질 내 정자 주입술은 보조생식술 중 가장 자주 적용하는 방법으로, 정자 1개를 선별하여 마이크로니들(micro needle)을 통해 난자 내에 주입하는 방법입니다. 

 

배아 이식 (embryo transfer, ET)

자궁 내 배아이식은 수정란이나 배아를 여성의 체내로 넣어주는 과정입니다. 배아 이식은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므로 간단하게 여겨질 수 있지만, 시험관 아기술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배아를 이식하기 전에 몇 개의 배아를 이식하는지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거에는 배아를 많이 이식할수록 성공률이 높다고 생각되었지만, 최근 발표된 연구에서는 3개 이상의 배아를 이식하는 것은 임신율을 높이지 못하고 다태아 가능성만 높이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