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체외수정 과정 올바른 과배란의 유도

by 지선체 2023. 11. 21.
반응형

 체외수정이란?

 체외수정(IVF -ET : In Vitro Fertilityzation -Embryo Transfer)이란, 난관에서 정상적으로 일어나는 수정 과정을 인체 밖(체외)에서 인위적으로 이뤄지게 하여 임신을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즉 여성의 난소에서 성숙된 난자를 채취하고, 남성의 정액을 채취하여 시험관(배양접시)에서 수정시킨 뒤 배아를 2~5일 동안 배양하고, 자궁내막에 이식해 임신을 유도하는 시술입니다.

 

 체외수정은 난자의 과배란 유도, 성숙한 난자와 건강한 정자 채취, 채취한 난자와 정자의 수정 유도, 배아 배양, 배아를 여성의 자궁내막에 이식, 임신 유지를 위한 자궁내막 보강의 과정으로 이루어 지며  첫 번째 과정인 과배란 유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추가 정보 : 대한산부인과학회 체외 수정 시술 안내 동영상

대한산부인과학회홈페이지  → 일반인 공간 → 일반인을 위한 산부인과 애니메이선 (Health Breeze 제공) → '체외수정' 검색 

 

과배란의 유도

 배란을 유도하는 방법에 따라 '자연적인 배란법'과 '인위적인 배란 촉진법'으로 나뉩니다. 

 자연 배란은 난자의 배란이 한 달에 한 번만 일어나고, 배란일의 정확한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성숙된 난자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인위적인 과배란 유도법이 많이 선택됩니다. 

 

 인위적으로 과배란을 시키는 이유는 자연 주기에 비해 다수의 난자를 한꺼번에 얻어 임신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수의 성숙한 난자를 채취하였을 때 체외수정 임신율이 높기 때문에 대부분의 체외수정에서는 배란 유도제를 사용하는 인위적 배란 촉진법을 시행합니다.

 

 체외수정에서 배란 유도제를 사용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주로 환자의 연령이나 난소기능, 이전의 배란 유도 결과 등을 참고로 하여 배란유도 방법을 선택합니다.

 

▶ 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효능제 (GnRH agonist)의 장기 투여법

① 생식색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효능제 (GnRH agonist) 투여

 - 체외수정을 하기 원하는 달의 바로 전달 중기 황체기(배란 후 7일) 또는 생리 예정일 7~10일 전부터 GnRH agonist를 피하 주사하여 환자의 체내에서 분비는 여성호르몬을 낮추고 생리를 유도합니다.

 

② 생식샘자극호르몬(FSH,hMG) 투여

 - 생리가 시작되면 초음파 검사와 호르몬 검사를 하여 자궁과 난소의 상태가 배란 유도 시작에 적절하게 준비된 것을 확인하고 난포자극호르몬(FSH)이나 사람폐경생식자극호르몬(hMG) 등의 생식샘자극호르몬을 주사하여 여러 번 초음파검사, 호르몬 검사를 하여 배란일을 결정합니다.

 

③ 사람융모성생식샘자극호르몬(hCG)투여

- 적정 크기의 난포가 관찰되면 hCG를 주사하여 배란 유도를 완성하고 hCG 투여 이틀 후 난자를 채취합니다. 

 

▶ 장기 투여법 외에 단기 요법, 초단기 투여법 등이 있고, 생식샘자극호르몬 주사제인 FSH, hMG만 쓰는 방법, 또는 먹는 배란유도제인 클로미펜과 hMG를 병용하는 방법 등 체외수정을 위한 여러 가지 과배란 유도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길항제 (GnRH antagonist), 유전자 재조합(recombinant)을 이용한 생식샘자극호르몬 주사 등의 새로운 약들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적정 크기의 난포가 관찰되면 hCG를 주사하여 배란 유도를 완성하고 hCG 투여 이틀 후 난자를 채취합니다. 

 

 

 인위적인 배란 촉진법은 자연적인 방법에 비해 비싸고 간호 배란 약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난포호르몬의 분비가 너무 많으면 자궁내막이 착상하기 가장 좋은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임신에 실패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너무 많은 난포가 자라 난소 과자극 증후군 (OHSS)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난자를 한꺼번에 많이 얻을 수 있으므로 그 주기에 임신 시도를 하지 못하더라도 배아를 동결해 두었다가 다음 주기에 다시 임신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초음파를 통해 난포의 성장을 계속 관찰하기 때문에 배란 시간을 맞추기가 자연배란보다 좋습니다. 완전히 성숙한 난자와 건강한 정자만을 채취하여 수정하므로 임신의 성공률도 높아 집니다.

 

 

 

 

 

   

반응형